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창작물에서 === 나치와 관련된 수많은 [[음모론]] [[떡밥]]들이 심심찮게 보이며, 각종 [[영화]], [[문학]],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서 '악의 화신' 내지 '악마의 군대'처럼 묘사되어 등장하고, 이 경우 십중팔구 [[오컬트]]와 엮인다. 대표적인 예가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에 등장한 나치의 특무기관 [[아넨엘베]]. [[인디아나 존스]]에서는 성궤와 [[성배]]를 찾아내어 [[세계정복]]에 활용하려고 한다. [[초고대문명설]]과 엮이는 경우도 흔하다. [[울펜슈타인3D|울펜슈타인]]의 최신작에서는 [[평행세계]]를 찾아내기도 한다. 또한 대체역사물에서는 전쟁에 승리한다면, 최소한 유럽 강역, 최대로는 동/남아시아 정도를 제외한 유라시아[* 이 경우 우랄 산맥 동쪽의 러시아,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는 추축국의 승리를 가정한다면, [[일본 제국]]령일 [[대동아공영권|가능성이 크다]].] 및 아프리카, 북미까지 정복하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는 전쟁에 승리한뒤 같은 추축군이었던 일본과 싸우는 경우도 있다. '''완전 [[판타지]] 집단이다.''' 히틀러 최후의 망상이었던 [[라스트 바탈리온]] 드립도 음모론의 일부로 대중문화에 자주 등장한다. 제일 대표적인 예를 들면 [[헬싱]]에 [[히틀러]]의 비밀지시로 1000명의 [[무장친위대]]패잔병들을 흡혈귀로 만든 무지막지한 집단 [[최후의 대대(헬싱)]][* 이름 자체가 라스트 바탈리온이며 본인들도 자신들이 라스트 바탈리온이라고 소개한다.] 또 나치의 세계정복을 위한 비밀 연구 떡밥도 곧잘 등장한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2부 [[전투조류]]의 묘사나, [[가면라이더(초대)|가면라이더]]의 비밀결사 [[쇼커]] 등.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사실로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점에 주의하자. [[http://panzerbear.blogspot.com/2009/12/wotan.html|이것]]을 읽으면 나치의 오컬트적 성향이 철저히 주류 미디어에 의해 자극적으로 재생산되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실존했던 악의 집단이기에 악역으로 사용하기 완벽하다. 게임 상에선 (적대적) [[외계인|외계인 또는 외계 크리쳐]], [[악마]], [[기계의 반란|인류에게 적대적인 로봇(들]], [[좀비]]와 함께'''[* 단, 바이러스에 감염된 좀비일 경우 감염전에는 평범한 사람들이었기에 주인공들이 고뇌하거나하는 전개가 나오기도 하고, 독자들도 일말의 동정심을 가지기는 한다.] 아무리 죽이고 죽여도 사람들이 별로 불만을 가지지않는 존재들'''[*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는 아예 [[나치 좀비]]라는 괴상한 물건까지 만들었다.] 미국인들은 역사적 배경으로 인하여 나치와 공산주의를 매우 싫어하기 때문에 냉전기에는 아예 나치와 소련을 대놓고 섞어놓은, 형언할 수 없이 기괴한 혼종이 악의 조직의 스테레오타입으로 유행하기도 했다.[[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CommieNazis|TV tropes의 '빨갱이 나치'(Commie Nazis) 항목]] 좀비와는 달리 엘리트 병사란 인상도 강해서 적당한 난이도도 제공하는 등 악역으로 만들기엔 더없이 좋은 존재들이다. 양대 [[미국 만화]] 출판사인 [[DC 코믹스]]와 [[마블 코믹스]] 모두 나치를 악당으로 적극 채용했다. [[진주만 공습]] 이전에는 세계에 전쟁을 불러온 독재 정권이니 악당이었고, 그 이후에는 국가의 적이니 당연히 악당이었다. 이 과정에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도 나오는 [[하이드라]]와 같이 네임드 악당들으로 정착한 사례가 나오며 전쟁이 끝난 후에도 계속 출연권이 보장되었다. 그런데 자영업 악당들에게는 평판이 좋지 않은 것 같다.[* 어스토니싱 앤트맨(2015) #8에서는 쩌리 악당들이 신입에게 [[팀킬하는 보스|나치는 부하들 죽이는걸 너무 좋아하니]] 절대 나치하고는 엮이지 말라고 조언하는 장면이 있으며 [[태스크마스터]]도 태스크마스터(2020) #3에서 나치는 믿을 수 없기에 고용주로 받지 않는다고 독백한다.] 다만 요즘은 식상하다는 의식도 좀 있긴 있다. 식상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적을 바꾼 것이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외전인 레드 얼럿 시리즈. 히틀러를 날려버려서 나치는 안 생겼는데 소련이 커버렸다. 피해가 덜한 동양쪽에선 어쩌다가 가끔 개심한 나치 기믹의 선역이 나왔는데([[루돌 폰 슈트로하임]]이나 [[브로켄 주니어]]) 이들 때문에 해당작품이 서구권에는 수입금지되기도 했다. 또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오리지널 적 세력인 [[쇼커]]는 이들의 잔재세력이란 설정이다. 독일에서는 나치(Nazi)라는 표기 자체가 금지되어있기때문에 NS라고 한다. 사실 같은 줄임말인데…. 네오나치들은 NS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거침없는 모양. IGN 비디오 게임 악역 투표에선 조직 그 자체로 [[http://www.ign.com/videogame-villains/6.html|'''6위''']]에 올랐다. 등장한 게임은 '[[제2차 세계 대전]]을 다루는 모든 게임'. [[스타트렉: 엔터프라이즈]]에서는 시간 전쟁의 피해 중 하나로 '''나치가 세계정복을 하는''' 시간선이 형성되었는데, 29세기의 외계인들이 나치를 암살, 물자 지원, 첨단 기술 등 다방면으로 지원해주고 그 대가로 자산들은 원래 시대로 돌아가려는 계획이였다. 그러나 22세기의 지구 우주선이 나타나 외계인의 시간 여행 장치도 파괴하고 덤으로 외계인까지 죽이면서 역사는 다시 원래대로 돌아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